84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4)
기독교강요강해(84)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의 기초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은혜를 값없이 주신다는 약속인데, 이 약속은 하나님의 말씀에 있다, 29-32)
31항. 믿음에 대하여 말씀이 가지는 의의
32항. 믿음의 약속은 그리스도에게서 실현되었다
(믿음은 성령에 의하여 우리의 마음에 계시된다, 33-37)
33항. 말씀은 성령을 통해서 우리의 믿음에 효과를 나타낸다.
34항. 성령만이 우리를 그리스도께로 인도하신다
|
83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3)
기독교강요강해(83)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의 확실성과 두려움과의 관계, 16-28)
25항. 믿음의 두 면에 대하여 베르나르가 한 말
26항. 하나님을 경외함과 하나님을 공경함
27항. 자녀의 두려움과 종의 두려움
28항. 믿음이 확약하는 것은 지상의 번영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이다
(믿음의 기초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은혜를 값없이 주신다는 약속인데, 이 약속은 하나님의 말씀에 있다, 29-32)
29항. 하나님의 약속이 믿음을 지탱한다
30항. 믿음이 은혜에 대한 약속만을 토대로 삼는 이유
|
82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2)
기독교강요강해(82)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의 확실성과 두려움과의 관계, 16-28)
18항. 신자의 내심에 있는 갈등
19항. 약한 믿음도 참 믿음이다
20항. 믿음의 약점과 강점
21항. 하나님의 말씀은 믿음의 방패이다
22항. 옳은 두려움
23항. “두려움과 떨림”
24항. 믿음의 확실성이 확고 부동한 것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와 하나가 되시기 때문이다
|
81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1)
기독교강요강해(81)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이란 말에 대한 여러 가지 용납할 수 없는 정의들, 8-13)
13항. “믿음”이란 말은 성경에서 여러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제7항에 있는 믿음의 정의에 내포된 것을 자세히 검토함: 지식의 요소, 14-15항)
14항. 고상한 지식으로서의 믿음
15항. 믿음은 확실성을 내포한다
(믿음의 확실성과 두려움과의 관계, 16-28)
16항. 믿음은 확실성
17항. 시험과 싸울 때의 믿음
|
80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0)
기독교강요강해(80)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이란 말에 대한 여러 가지 용납할 수 없는 정의들, 8-13)
8항. 내실적 신앙과 형식적 신앙
9항. 고린도전서 13:2-내실적 신앙과 형식적 신앙의 차이를 증명한다
10항. “형식적” 신앙은 환상에 불과하다
11항. 버림을 받은 사람들에게도 “믿음”이 있는가
12항. 진정한 믿음과 거짓된 믿음
|
79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9)
기독교강요강해(79)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신앙은 지식을 내포한다. 스콜라의 맹신이라는 사고는 참된 교리를 흐리게 한다, 2-5)
2항. 믿음의 근거는 지식이지 경건한 무지가 아니다
3항. 로마 교회의 맹신이라는 교리는 근본적으로 틀렸다
4항. 바른 믿음도 항상 오류와 불신앙에 둘러싸인다
5항. 예비 신앙으로서의 “맹신”
(말씀에 대한 믿음의 관계; 믿음의 요약된 정의, 6-7)
6항. 믿음의 근거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7항. 그리스도 안에서 은혜를 주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에서 믿음이 생긴다
|
78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8)
기독교강요강해(78)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장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이 성령의 신비한 역사에 의해 우리에게 유익을 준다
1항. 우리를 그리스도와 연합시켜 주시는 띠로서의 성령
2항. 그리스도께서는 어떻게 또 무슨 이유로 성령을 받으셨는가
3항. 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칭호
4항. 믿음은 성령의 역사이다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의 대상이신 그리스도, 1)
1항.
|
77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7)
기독교강요강해(77)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2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 : 처음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17장 그리스도께서 자기의 공로로 하나님의 은총과 구원을 우리에게 얻어 주셨다고 하는 것은 정당한 주장이다
1항. 그리스도의 공로는 하나님이 값없이 주시는 은총을 배제하지 않고 그 은총에 앞설 뿐이다
2항. 성경은 하나님의 은총과 그리스도의 공로를 연결한다
3항. 성경이 증언하는 그리스도의 공로
4항. 그리스도가 대신하심
5항. 그리스도의 죽음은 우리를 구속하기 위한 대가이다
6항. 그리스도께서는 자기를 위해서 공로를 얻으신 것이 아니다
|
76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6)
기독교강요강해(7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2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 : 처음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16장 그리스도는 우리를 구원하시려고 어떻게 구속자의 기능을 다하셨는가?
여기서 그의 죽음과 부활과 승천도 논한다
(그리스도의 부활과 승천과 하늘에 정좌하심, 13-16)
13항. “사흘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시며”
14항. “하늘에 오르사”
15항. “아버지 우편에 앉아 계시다”
16항. 그리스도의 승천이 우리의 믿음에 주는 혜택
(그리스도는 앞으로 심판하러 오심, 17)
17항. “저리로서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오시리라”
(신경에 대한 결론 : 그리스도의 충족성, 18-19)
18항. 심판자가 구속자시다
19항. 신경의 모든 조항에 홀로 그리스도가 계실 뿐이다
|
75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5)
기독교강요강해(7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2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 : 처음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16장 그리스도는 우리를 구원하시려고 어떻게 구속자의 기능을 다하셨는가?
여기서 그의 죽음과 부활과 승천도 논한다
(지옥 강하의 교리를 설명함, 8-12)
9항. 그리스도는 지하 세계에 가셨는가
10항. “지옥 강하”는 우리를 위해서 그리스도가 받으신 정신적 고통을 의미한다
11항. 성경 구절로 이 설명을 변호함
12항. 오해와 오류에 대해서 이 교리를 옹호함
|
74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4)
기독교강요강해(74)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2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 : 처음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16장 그리스도는 우리를 구원하시려고 어떻게 구속자의 기능을 다하셨는가?
여기서 그의 죽음과 부활과 승천도 논한다
(그리스도의 복종과 죽음의 결과, 5-7)
5항. 그리스도는 평생을 복종으로 일관하셨고, 그 복종으로 우리를 구속하셨다
6항. “십자가에 못박히사”
7항. “죽으시고 묻히시며”
(지옥 강하의 교리를 설명함, 8-12)
8항. “지옥에 내려가사”
|
73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3)
기독교강요강해(73)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2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 : 처음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15장 성부께서 그리스도를 보내신 목적과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을 알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그의 예언자와 왕과 제사장으로서의 세 가지 직책을 보아야 한다
(3. 제사장직 : 화해와 중보, 6항)
제16장 그리스도는 우리를 구원하시려고 어떻게 구속자의 기능을 다하셨는가? 여기서 그의 죽음과 부활과 승천도 논한다
(죄로 인하여 하나님에게서 멀어진 우리 : 그래도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셨고, 우리는 그리스도에 의해서 화해를 얻었다, 1-4항)
1항. 구속자
2항. 하나님의 진노를 알면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의 행위를 감사하게 된다
3항.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 : 그의 사랑이 그리스도 안에서의 화해보다 앞선다
4항. 속죄 사업은 하나님의 사랑에서 유래한다 : 전자가 후자의 원인이 아니다
|
72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2)
기독교강요강해(72)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2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 : 처음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15장 성부께서 그리스도를 보내신 목적과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을 알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그의 예언자와 왕과 제사장으로서의 세 가지 직책을 보아야 한다
(1. 그리스도의 구원 활동 세 가지 : 첫째, 예언자로서의 직책, 1-2)
1항 그리스도의 예언자적 직책에 대한 성구들
2항. 우리에게 대한 그 예언자적 직책의 의미
(2. 왕으로서의 직책과 그 영적 성격, 3-5)
3항. 그리스도의 주권의 영원성
4항. 그리스도의 왕으로서의 직책이 우리에게 주는 축복
5항. 그리스도의 왕위의 영적인 성격 : 그리스도와 아버지의 주권
|
71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1)
기독교강요강해(71)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2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 : 처음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14장 중보의 두 본성은 어떻게 한 위격을 이루는가
(네스토리우스와 유티케스와 세베르투스의 오류들을 배척함, 4-8)
4항. 두 본성은 융합 또는 분리되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5항. 그리스도는 영원 전부터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6항.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사람의 아들이신 그리스도
7항. 세베르투스의 천박한 반증
8항. 세베르투스의 주장을 종합적으로 소개하고 반박함
|
70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70)
기독교강요강해(70)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2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 : 처음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13장 그리스도는 사람의 육신의 진정한 본질을 취하셨다
(그리스도는 인간의 후손이며, 참인간성을 가지셨다, 3-4)
3항. 처녀 마리아를 통한 그리스도의 선조 : 불합리한 생각을 폭로함
4항. 참사람이지만 죄가 없으시고, 참사람이지만 영원히 하나님이시다
제14장 중보의 두 본성은 어떻게 한 위격을 이루는가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을 설명함, 1-3)
1항. 이중성과 통일성
2항. 신성과 인성과의 상호 관계
3항. 중보의 위격의 통일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