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9)
기독교강요강해(99)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5장 보속설에 첨부된 면죄부와 연옥 (연옥설을 반박함; 연옥설 지지용으로 인용된 구절들을 해석함, 6-10) 7항. 복음서에 연옥을 증명하는 말씀이 있다고 한다 8항. 빌립보서와 계시록과 마카비후서에서 9항. 고린도전서 3장에 있는 결정적인 귀절 10항. 초대교회에 호소하는 것도 로마 교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
98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8)
기독교강요강해(98)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5장 보속설에 첨부된 면죄부와 연옥 (면죄부의 교리는 오류이며 그 영향은 유해하다. 1-5) 1항. 로마교회의 면죄부와 그 해독 2항. 면죄부는 성경에 배치된다 3항. 권위자들은 면죄부와 순교자들의 공로를 인정하지 않는다 4항. 반대자들의 성경해석을 반대함 5항. 면죄부는 그리스도의 은혜의 통일성과 포괄적 활동을 방해한다 (연옥설을 반박함; 연옥설 지지용으로 인용된 구절들을 해석함, 6-10) 6항. 연옥설은 논박할 필요가 있다
|
97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7)
기독교강요강해(97)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여러 가지 차이점과 반대 의견을 비판적으로 검토함, 28-39) 33항. 보복의 심판은 벌하기 위한 것이며 징계의 심판은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34항. 하나님의 징계를 받는 신자는 낙망하지 말라 35항. 다윗이 받은 벌 36항. 벌에 대한 배상으로서의 선행 37항. 죄인이었던 여인 38항. 로마교회 교리는 교부들의 권위를 근거로 삼을 수 없다 39항. 스콜라 학자들은 교부들의 교훈을 부패시킨다
|
96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6)
기독교강요강해(9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여러 가지 차이점과 반대 의견을 비판적으로 검토함, 28-39) 28항. 소죄와 대죄 29항. 죄가 용서되면 벌도 면제된다 30항. 그리스도의 특별 희생만이 벌과 죄책을 제거할 수 있다 31항. 그릇된 해석을 폭로함 : 하나님의 심판에는 처벌적인 것과 교정적인 것이 있다 32항. 하나님의 보복의 심판과 징계의 심판은 목적이 전연 다르다
|
95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5)
기독교강요강해(9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카톨릭 교도들의 오류들을 그리고 고백과 보속에 관련된 유해한 관습을 비평함, 16-25) 22항. 열쇠의 권한을 그릇되게 쓰는 것과 바르게 쓰는 것과의 차이 23항. 그릇된 주장을 폭로함 24항. 요약 25항. 천주교의 교리를 개관하며 논박함 (그리스도의 은혜만이 죄에 대한 진정한 보속을 제공하며 양심에 평화를 준다, 26-27) 26항. 그리스도는 완전한 보속을 제공하셨다 27항. 로마 교회의 교리는 그리스도의 영광을 탈취하며, 양심의 확신을 일소한다
|
94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4)
기독교강요강해(94)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카톨릭 교도들의 오류들을 그리고 고백과 보속에 관련된 유해한 관습을 비평함, 16-25) 17항. 완전한 고백을 요구하는 것은 무한한 고통을 준다 18항. 완전한 고백을 요구하는 데서 오는 악영향 19항. 비밀 고백을 비평함 20항. 열쇠의 권한에 호소하는 것은 근거가 없는 것이다 21항. 사제가 매고 푸는 것은 불확실하다
|
93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3)
기독교강요강해(93)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성경에 있는 죄의 고백, 9-13) 11항. 온 회중이 죄를 고백함 12항. 영혼의 치료와 사적고백 13항. 원망을 제거하기 위한 사적 고백 (열쇠의 권한과 죄의 사면, 14-15) 14항. 열쇠의 권한 : 그 성격과 가치 15항. 고백에 대한 천주교 교리의 요점 (카톨릭 교도들의 오류들을 그리고 고백과 보속에 관련된 유해한 관습을 비평함, 16-25) 16항. 모든 죄를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92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2)
기독교강요강해(92)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고백과 통회에 관한 스콜라 교리와 그 성경적 근거를 검토함, 1-6) 5항. 나사로를 풀어준 것을 곡해한다 6항. 성경적인 고백 (비밀 고백은 후대에 생겼다는 증거, 7-8) 7항. 고대 교회에는 의무적인 고백이 없었다 8항. 크리소스톰은 사람에게 고백하라고 명령하지 않는다 (성경에 있는 죄의 고백, 9-13) 9항. 하나님 앞에서 고백함 10항. 사람들 앞에서 죄를 고백함
|
91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1)
기독교강요강해(91)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4장 복음의 순수성과는 거리가 먼 스콜라 궤변가들의 회개론; 고해와 만족설(보속설)을 논함 (고백과 통회에 관한 스콜라 교리와 그 성경적 근거를 검토함, 1-6) 1항. 회개에 관한 스콜라 교리 2항. 회개에 관한 스콜라 교리는 양심을 괴롭힌다 3항. 죄인의 통회가 아니라, 주의 자비가 기다리고 있다 4항. 고백하라는 명령은 없다 : 깨끗함을 받은 나환자들에 대한 스콜라파의 은유적 추리를 반박함
|
90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90)
기독교강요강해(90)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3장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
(회개해도 소용 없고 용서를 받을 수도 없는 죄들, 21-25)
21항. 회개는 거저 주시는 하나님의 선물이다
22항. 용서할 수 없는 죄
23항. “두번 째 회개”는 있을 수 없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24항. 용서받을 수 없는 자들은 회개할 수 없는 사람들이다
25항. 가짜 회개와 진짜 회개
|
89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9)
기독교강요강해(89)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3장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
(회개의 열매 : 거룩한 생활, 죄의 고백과 용서, 평생 계속하는 회개, 16-20)
16항. 외면적인 회개와 내면적인 회개
17항. 회개의 외면적 실천이 주된 문제가 되어서는 안 된다
18항. 하나님 앞과 사람 앞에서 죄를 고백하는 것에 대하여
19항. 회개와 용서는 서로 관련되어 있다
20항. 어떤 의미에서 회개는 용서의 선행 조건인가
|
88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8)
기독교강요강해(88)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3장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
(신자들은 성화를 체험하지만 현세 생활에서는 죄 없는 완전성을 체험하지 못한다. 10-15)
11항. 신자들 속에서 죄는 지배력을 잃었으나 여전히 살아 있다
12항. “타고난 부패”란 무슨 뜻인가
13항. 신자들이 여전히 죄인인 데 대한 어거스틴의 증언
14항. 완전성이라는 환상에 반대함
15항. 고린도후서 7:11에 있는 회개
|
87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7)
기독교강요강해(87)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3장.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
(회개를 정의함 : 그 요소들인 육을 죽임과 영을 살림을 설명함, 5-9)
5항. 정의
6항. 회개는 하나님께로 돌아서는 것
7항. 회개는 하나님을 두려워할 때에 생긴다
8항. 죽임과 살림은 회개의 구성 부분이다
9항. 그리스도 안에서 거듭남
(신자들은 성화를 체험하지만 현세 생활에서는 죄 없는 완전성을 체험하지 못한다. 10-15)
10항. 신자들은 여전히 죄인이다
|
86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6)
기독교강요강해(8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과 소망 및 사랑과의 관계, 41-43)
42항. 믿음과 소망은 서로 연결된다
43항. 믿음과 소망은 하나님의 자비라는 동일한 토대 위에 섰다
제3장. 믿음에 의한 우리의 중생 : 회개
(회개는 믿음의 결과이다. 이 점에 관한 몇 가지 오류를 고찰함, 1-4)
1항. 믿음의 결과로서의 회개
2항. 회개의 근거는 복음에 있으며, 믿음은 복음을 받아들인다
3항. 죽임과 살림
4항. 율법 하의 회개와 복음 하의 회개
|
85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85)
기독교강요강해(8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장 믿음: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믿음은 성령에 의하여 우리의 마음에 계시된다, 33-37)
35항. 사람은 성령이 없이는 믿음을 가질 수 없다
36항. 마음의 문제로서의 믿음
37항. 의심은 믿음을 질식시키지 못한다
(여기에 대한 스콜라 철학자의 항의를 논박함, 38-40)
38항. 믿음의 확신에 관한 스콜라 철학자의 오류
39항. 그리스도인은 성령의 내주를 기뻐한다
40항. 우리가 끝까지 견인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확실치 못하다는 생각
(믿음과 소망 및 사랑과의 관계, 41-43)
41항. 히브리서11:1에 있는 믿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