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29)
기독교강요강해(129)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20장 기도 : 믿음의 최상의 실천이며 우리는 이것을 통해 매일 하나님의 은혜를 받는다 (기도의 본질과 가치, 1-3) 1항. 믿음과 기도 2항. 기도의 필요성 3항. 반대의견 : 기도는 없어도 되지 않는가? 기도해야하는 여섯 가지 이유 (올바른 기도의 법칙, 4-16) 첫째 법칙 : 경외, 4-5 4항. 하나님과의 대화에는 경건한 초자연성이 필요하다
|
128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28)
기독교강요강해(128)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9장 그리스도인의 자유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약한 형제들과의 관계; 또 형제들을 넘어지게 하는 문제, 10-13) 12항.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바르게 행사하며 바르게 포기하는데 대하여 13항. 이웃을 사랑한다는 구실로 하나님께 죄를 지어서는 안된다 (전통과 정부에 대한 장와 양심의 관계, 14-16) 14항. 인간의 모든 법에 대하여 양심은 자유롭다 15항. 두 개의 나라 16항. 양심의 구속과 자유
|
127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27)
기독교강요강해(127)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9장 그리스도인의 자유 (“무해 무익한 일들”로부터의 자유; 로마서에 의한 증명, 7-9) 7항. 8항. 하나님의 선물을 그의 목적을 위해 쓰는 이유 9항.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탐식과 사치에 악용하지 말라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약한 형제들과의 관계; 또 형제들을 넘어지게 하는 문제, 10-13) 10항.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남용해서 약한 사람들을 해하는 것은 불가하다 11항. 넘어지게 하는 문제에 대해서
|
126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26)
기독교강요강해(12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9장 그리스도인의 자유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한 교리는 필요하며, 이 자유에 포함된 세 부분중에서 첫 부분은 갈라디아서 1-3장에 있다, 1-3) 1항. 자유에 대한 기독교의 교리를 바르게 이해해야 한다 2항. 율법으로부터의 자유 3항. 갈라디아서에 있는 논증 (둘째는, 율법의 강요를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순종하는 양심의 자유이다, 4-6) 4항. 율법의 강요에서 해방되는 것이 신자들의 진정한 수종을 확립한다 5항. 강요에서 해방됨으로써 우리는 기꺼이 순종할 수 있게 된다 6항. 은혜로 인하여 자유를 얻은 신자들은 남은 죄를 무서워 할 필요가 없다
|
125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25)
기독교강요강해(12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8장 보상에서 행위의 의를 추론하는 것은 잘못이다 (이 견해에 반대론들에 대답함, 5-10) 7항. 환난을 참으면 보상이 있는가 8항. 사랑에 의한 칭의 9항. 마태복음 19 : 17 10항. 의와 불의는 같은 척도로 서로 비교할 수 없다
|
124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24)
기독교강요강해(124)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8장 보상에서 행위의 의를 추론하는 것은 잘못이다 (보상을 말하는 구절들은 행위를 구원의 원인이라고 하지 않는다, 1-4) 2항. 보상은 “기업”이다 3항. 은혜로서의 보상 4항. 보상을 약속하시는 목적 (이 견해에 반대론들에 대답함, 5-10) 5항. 보상의 근거는 용서이다 6항. “하늘에 쌓는 보물”에 대하여
|
123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23)
기독교강요강해(123)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7장 율법의 약속과 복음의 약속과의 조화 (칭의를 행위에 연결시키는 구절들을 연구함, 6-15) 13항. 로마서 2 : 13 14항. 신자들이 하나님 앞에서 자기의 행위에 호소하는 것은 무슨 뜻인가 15항. 신자들은 완전한가 제18장 보상에서 행위의 의를 추론하는 것은 잘못이다 (보상을 말하는 구절들은 행위를 구원의 원인이라고 하지 않는다, 1-4) 1항. “행한 대로 갚는다”는 뜻은 무엇인가
|
122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22)
기독교강요강해(122)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7장 율법의 약속과 복음의 약속과의 조화 (칭의를 행위에 연결시키는 구절들을 연구함, 6-15) 9항. 이신칭의는 행위에 의한 의의 기초가 된다 10항. 죄가 용서된 후에야 행위가 용납된다 11항. 야고보는 바울에 반대하는가 12항. “의롭다함”이란 말을 야고보는 바울과는 다른 뜻으로 쓴다
|
121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21)
기독교강요강해(121)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7장 율법의 약속과 복음의 약속과의 조화 (율법에 관련된 행위 : 고넬료의 예, 1-5) 5항. 어떤 의미에서 하나님께서는 중생한 자의 선행을 기뻐하시는가 (칭의를 행위에 연결시키는 구절들을 연구함, 6-15) 6항. 옛 언약에 있는 은혜의 약속과 율법에 있는 약속은 다르다 7항. 성경은 율법의 행위에 의한 “의”를 말하지 않는가 8항. 하나님 앞에서 행위에는 이중의 가치가 있다
|
120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20)
기독교강요강해(120)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6장 이 교리를 겨냥한 교황주의자들의 거짓된 중상에 대한 반박 4항. 칭의의 교리는 죄인을 선동한다 제17장 율법의 약속과 복음의 약속과의 조화 (율법에 관련된 행위 : 고넬료의 예, 1-5) 1항 스콜라 논법을 서술하고 논박함 2항 우리는 행위로 율법의 약속을 실현시킬 수 없다 3항 율법의 약속들은 복음을 통해서 실현된다 4항 사람은 하나님 앞에서 이중으로 용납을 받는다
|
119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9)
기독교강요강해(119)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5장 행위의 공로에 대한 자랑은 의를 주신 하나님께 대한 찬양과 구원의 확신을 파기한다 (사람의 공로로 그리스도의 공로를 대치하는 데 반대함, 5-8) 8항. 바른 교리를 기초로 한 충고와 위로 제16장 이 교리를 겨냥한 교황주의자들의 거짓된 중상에 대한 반박 1항. 칭의의 교리는 선행을 배제하는가 2항. 칭의의 교리는 선행에 대한 열성을 억누르는가 3항. 하나님의 영광과 하나님의 자비가 행동의 동기가 된다 : 행위는 종속적인 것이다
|
118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8)
기독교강요강해(118)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5장 행위의 공로에 대한 자랑은 의를 주신 하나님께 대한 찬양과 구원의 확신을 파기한다 (의롭다함을 얻으려면 인간의 공로가 필요하다는 교리는 성경뿐만 아니라, 어거스틴과 베르나르드도 반대한다, 1-4) 3항. 선행의 가치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에서 온다 4항. 반증에 대답함 (사람의 공로로 그리스도의 공로를 대치하는 데 반대함, 5-8) 5항. 그리스도께서는 유일한 기초이며, 창시자이시며, 완성자이시다 6항. 로마 교회의 신학은 그리스도의 힘과 영광을 소멸한다 7항. 로마 교회의 신학은 어거스틴이나 성경을 이해하지 못했다
|
117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7)
기독교강요강해(117)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4장 칭의의 시작과 지속적인 발전 (믿음에 의한 의에 대한 스콜라 학파의 항의와 성자들의 잉여 공로설을 검토 반박함, 12-21) 18. 그러나 선행을 보면 믿음이 강화될 수 있다 19. 행위는 소명의 결과이다 20. 행위는 하나님의 선물이며, 신자들의 확신의 기초가 될 수 없다 21. 간혹 선행을 하나님의 은혜의 이유라고 말하는 의미 제15장 행위의 공로에 대한 자랑은 의를 주신 하나님께 대한 찬양과 구원의 확신을 파기한다 (의롭다함을 얻으려면 인간의 공로가 필요하다는 교리는 성경뿐만 아니라, 어거스틴과 베르나르드도 반대한다, 1-4) 1항. 잘못된 물음과 참된 물음 2항. “공로”란 말은 성경에 없으며, 위험한 말이다
|
116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6)
기독교강요강해(116)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4장 칭의의 시작과 지속적인 발전 (믿음에 의한 의에 대한 스콜라 학파의 항의와 성자들의 잉여 공로설을 검토 반박함, 12-21) 12. 반대자들의 핑계 13. 잉여 공로를 말하는 사람은 하나님의 요구의 가혹함과 죄의 중대성을 오해하였다 14. 우리의 의무를 완수하더라도 우리에게 영광이 되지 못하며, 또 완수할 수도 없다 15. 우리와 우리의 것은 모두 하나님의 것이므로 잉여 업적은 있을 수 없다 16. 행위를 믿거나 행위를 자랑하지 말라 17. 행위는 결코 거룩의 원인이 될 수 없다
|
115 |
기독교강요 강해
기독교강요강해(115)
기독교강요강해(115)
기독교강요(존 칼빈, 생명의 말씀사) 제3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14장 칭의의 시작과 지속적인 발전 (자연 상태의 인간은 죄로 죽었으며 구속될 필요가 있다, 1-6) 6. 사람은 자기의 의를 위해서 아무것도 공헌할 수 없다 (위선자와 이름뿐인 그리스도인들은 정죄를 받는다, 7-8) 7. 의는 심령의 문제이다 8. 사람과 행위 (중생한 사람들은 믿음으로만 의롭다함을 얻는다, 9-11) 9. 또 진정한 신자들도 자기 힘으로는 아무런 선한 일을 하지 못한다 10. 자신의 의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율법의 엄격성을 오해하였다 11. 신자들의 의는 언제든지 믿음에 의한 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