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2)-제122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2)-제122문
문 122 사람에 대한 우리의 의무를 포함하는 나머지 여섯 가지 계명의 대강령은 무엇인가 ?
답 사람에 대한 우리의 의무를 포함하는 나머지 여섯 가지 계명의 강령은 우리 이웃을 내 몸같이 사랑하며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우리도 남을 대접하는 것이다.
9
기독교강요강해(146)
기독교강요강해(146)
기독교강요 ( 존 칼빈 , 생명의 말씀사 )
제 3 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
제 22 장 성경의 증거에 의한 이 교리의 확인
( 선택은 공로에 대한 예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 하나님의 주권적인 목적에서 온다 , 1-6)
6. 야곱이 선택된 목적은 지상의 복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 선택과 유기의 이 근거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대답함 , 7-11)
7. 선택에 관한 그리스도의 증거
8. 하나님의 예지에 대한 교부들의 ( 특히 어거스틴 ) 생각
8
요한복음강해(41)_죄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열람중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1)-제121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1)-제121문
문 121 제 사 계명의 첫머리에 왜 기억하라는 말이 있는가 ?
답 제 사계명의 첫머리에 기억하라는 말이 있음은 부분적으로 안식일을 기억함에서 오는 큰 혜택 때문이니, 우리가 그것에 의하여 이 날을 지키려고 준비하는 일에 도움을 받으며 이를 지킴에 있어서 남은 모든 계명을 지킴과 짧은 종교의 요약을 포함하는 창조와 구속의 두 가지 큰 혜택을 계속하여 감사히 기억함은 더 좋은 일이기 때문이며 , 부분적으로는 우리가 이 날을 흔히 잊어버리기 쉽기 때문이니 , 이것에 대한 자연의 빛이 조금 적으나 이것은 오히려 다른 때에 합당한 일들에 있어서의 우리의 본래의 자유를 제재하며 , 이것은 이레 중에 단 한 번만 오고 여러 가지 세상의 일들이 그 사이에 옴으로 우리들의 마음을 이 날에 대한 생각으로부터 빼앗아 가서 이 날을 준비하거나 이 날을 거룩히 하는 일에 지장이 있게 하며 , 사단은 그의 기구들을 가지고 많이 힘써 이 날의 영광을 거두어 버리고 , 심지어 이를 기억하지 못하게 하여 모든 비종교적 , 불경한 요소를 들어오게 하려 한다 .
6
그리스도를 얻고 그 안에서 발견되려 함이니
5
용서의 하나님(2)-이스라엘아 여호와를 바랄찌어다
4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0)-제120문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20)-제120문
제 120 제 사 계명을 더욱 더 강화하려고 여기에 어떠한 이유들이 부가되었는가 ?
답 제 사 계명을 더욱 더 강화하려고 부가된 이유들은, 하나님께서 이레 중 엿새를 허락하셔서 우리 자신의 일을 돌보게 하시고 , 자기 자신을 위해서는 하루만을 남겨 두신 이 계명의 공평성에 있으니「 엿새 동안은 힘써 네 모든 일을 행할 것이다 」 하신 말씀에 나타나 있는 것이며 ,「 제 칠일은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안식일인즉 」 이라 하시어 그 날의 특별한 적절성에 대해 하나님께서 주의를 촉구하신 데 있으며 , 이는 「 엿새 동안에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제 칠일에 쉬신 」 하나님의 본을 받음에 있으며 , 하나님께서 이 날을 자기를 섬기는 거룩한 날로 거룩하게 하실 뿐 아니라 우리가 이 날을 거룩히 지킬 때 우리에게 주시는 복의 방편으로 정하심으로 이 날을 복되게 하신 데 있는 것이다 .
3
용서의 하나님(1)-주께서 죄악을 감찰하실찐대 누가 서리이까
2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강해(119)-제119문
1
기독교강요강해(145)
기독교강요강해(145)
기독교강요 ( 존 칼빈 , 생명의 말씀사 )
제 3 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
제 22 장 성경의 증거에 의한 이 교리의 확인
( 선택은 공로에 대한 예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 하나님의 주권적인 목적에서 온다 , 1-6)
2. 창세 전의 선택은 공로의 예지와 관계가 없다
3. 선택하신 것은 거룩하게 만드시기 위한 것이었지 거룩하기 때문은 아니었다
4. 로마서 9-11 장과 유사 구절들
5. 야곱과 에서의 경우는 행위를 근거로 삼는 주장을 반박한다